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제주 해녀 고령화로 매년 은퇴가 늘어난다 - 고령화 사회

by 중계붕어 2023. 2. 24.
반응형

제주 해녀는 바다에서 직접 잠수하여 해산물을 채취하는 고유한 삶의 방식이다. 일본에도 이와 비슷한 방식의 수산업이 있지만 2016년 제주 해녀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이나,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다는 점 등의 문화유산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제주 해녀 역시 고령화 사회의 여파로 인해 점차 종사 인원이 줄어들고 있다. 신규 유입자가 약 3-40명인데 비해, 매년 100여 명의 해녀들이 은퇴하고 있다고 한다. 2022년 말 3226명으로 집계되어 있는 제주 해녀의 숫자는 더욱 빠르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사회의 상징 - 제주 해녀의 은퇴

제주 해녀는 단순히 수산업 종사자의 은퇴라고 보기엔 어렵다. 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맨몸으로 물속에 들어가 수산물을 채취하기 때문에 신체의 건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고령화 사회의 상징이라 할 수 있겠다.

 

제주도의 통계에 따르면 제주 해녀는 2019년 3820명, 2021년 3437명, 2022년 3226명 등 매년 감소하는 추세에 놓여 있다. 그리고 현재 활동 중인 해녀의 60% 이상(2090명)이 70세 이상의 고령자였다. 50세 미만은 89명, 이 중에서도 20대는 3명뿐이었다. 현존 제주 해녀 중 최고령자는 94세, 최연소자는 26세였다.

 

해녀의 경우에는 해녀 선배들을 통해 구전되는 기술들을 전수받기 때문에, 현재 프리다이빙과 같이 신체 기능을 분석한 다이빙을 진행하지 못했다. 나름 과학적인 기틀을 마련한 프리다이빙도 쉽지 않지만, 그 이전 해녀의 활동은 대부분 신체 기능과 운에 맡겨왔을 것이다.

 

신규 진입자는 매년 30명 선에 그치고 있다. 신규 진입자가 적은 이유가 단순히 '힘든 일이라서'가 아니라, 해녀 조합비용과 같은 초기비용이나 여러가지가 장벽으로 발생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그런 비용을 내면서 진입할 만큼의 매력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제주도는 해녀학교 운영지원, 해녀 가입비 지원, 40세 미만 신규 해녀 정착금 지원(월 30만원/3년 간) 수산 종자 방류 지원 등의 지원책을 꺼내고 있지만 사실상 실효를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사회가 맞이할 한국 사회의 변화

사실, 해녀의 경우 유네스코 문화유산이기 때문에 통계로 보여지는 것뿐이다. 현재 대부분의 육체노동 분야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신규진입자가 적다는 문제점을 맞이하고 있다.

 

출산율이 1 미만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한국사회의 변화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기업활동에 있어서도 과점과 독점을 제도적으로 규제할 수 없는 상황이 펼쳐질 것이고, 산업인구가 지탱해주고 있는 사회 안전망이 빠르게 붕괴할 것이다. 여기까지는 대부분이 쉽게 전망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정책적으로 어떤 해결방안을 만들어가느냐에 따라 한국 사회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현재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다는 해녀지원 정책은 해녀 유입인구를 늘릴 수 있을까?

 

현재 공공기관의 발상은 지원금을 통한 유도에 그치고 있다. 해녀 업종에 대한 매력도를 높여야 한다는 방식은 없다. 한국 사회의 저출산 대책 역시 마찬가지다. 해결해야 될 문제는 많지만, 결국 가장 먼저 집중해야 하는 것은 매력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반응형

고령화에 집중될 테마 - AI, 로봇, 의료복지, 유아

고령화 사회로 인해 집중될 수 있는 테마는 다음과 같다.

 

A.I.(인공지능) - ChatGPT의 등장으로 인해 체감이 되기 시작한 인공지능 분야는 부족한 노동력 충당을 위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챗 GPT의 기술에 대한 간략한 설명 바로가기 - ChatGPT, 검색 시장의 새로운 미래?

 

ChatGPT, 검색 시장의 새로운 미래?

구글이 긴장하기 시작했다는 AI 대화 모듈인 ChatGPT가 화제다. 구글이 어떤 점에서 긴장하고 있다는 것일까? ChatGPT란 무엇인가? ChatGPT에게 직접 물어보았다. 당신은 대체 뭐지? ChatGPT is a language mode

hellyeah.tistory.com

로봇기술 - 마찬가지로 노동력 대체 및 자동화 설비를 위한 관심으로 로봇기술에 대한 테마도 충분히 관심을 받고 있다.

 

의료복지 -  고령사회의 가장 큰 비용지출을 만들어 낼 곳은 바로 의료 분야다. 이 분야와 관련된 내용들이 2차 관심사다.

 

유아 관련 - 고령화 사회의 또 다른 의미는 어린 사람이 귀해진다는 뜻이다. 즉, 유아 관련 사업의 메리트가 더욱 높아질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현재 사교육 시장도 인구절벽이라는 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팽창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