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상장폐지2

자진상장폐지를 왜? 삼목에스폼에 대한 고민 어떤 지역의 부동산 개발을 할 때, 주변 지역을 모두 매입하여 개발을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기존의 집주인들은 적당한 가격에 호응하여 매각하지만, 끝까지 남아서 버티고서 더 비싼 보상금을 받는 경우를 알 박기라고 표현한다. 개발사들도 한복판에 매입하지 못한 부동산이 남아버릴 경우, 프로젝트가 어그러질 수 있어서 울며 겨자 먹기로 매입하게 된다. 물론 알 박기가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주식에도 알박기가 있다. 바로 자진상장폐지를 추진하는 회사의 주식을 사서 버티는 것이다. 열심히 상장을 해놓고, 다시 상장폐지를 한다는 게 언뜻 이해가 되지 않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그럴싸하게 느껴진다. 자진상장폐지를 하는 이유? 상장의 실익이 없어서? 회사측에서 자진상장폐지를 하는 이유는 언제나 "상장의 실익이 없.. 2023. 3. 29.
주식 상장폐지의 뜻, 그 조건과 정리매매 절차 주식투자를 진행하는 도중에 만나게 되는 가장 안 좋은 사건이 바로 상장폐지다. 상장폐지는 어떻게 진행되고, 피해 갈 수 있는지 알아보자. 목차 주식 상장폐지란? 상장폐지 조건 상장폐지 및 정리매매 절차 정리매매까지 다 끝난 경우에는? 주식 상장폐지란?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 가끔씩 들리는 단어가 바로 '상장폐지'다. 상장폐지란 해당 회사의 주식이 한국거래소(KRX)에서 더 이상 거래할 수 없도록 리스트에서 폐지된다는 것이다. 상장폐지가 되면 더 이상 MTS나 HTS에서 거래할 수 없고, 별도의 장외거래 시장을 통해 거래해야 한다. 상장폐지는 코스피 시장에 비해 코스닥 시장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 왜냐하면 코스닥 시장 상장은 기업의 재무상태가 아닌 기술 등에 의해 특례로 상장되는 경우가 많기 때.. 2023. 1.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