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2024년의 한국 은행 자산 순위 - 최신 업데이트 2023년 12월 기준

by 중계붕어 2024. 7. 17.
반응형

은행 주요 통계('23.12월말 기준).xlsx
0.30MB

 

 

본 블로그에서 계속해서 추적하고 있는 은행 자산순위를 소개한다. 2023년 은행의 과거 자산 순위는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2024년 4월 22일 발표한 통계 자료는 위의 엑셀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가장 최신 은행 자산순위: 2024년 6월 기준 (2024년 10월 23일 발표)

2024년 2분기 한국의 은행 자산순위 (2024년 6월 기준 최신 업데이트)

 

2024년 2분기 한국의 은행 자산순위 (2024년 6월 기준 최신 업데이트)

본 블로그에서 계속해서 추적하고 있는 은행 자산순위를 소개합니다. 2024년 10월 23일에 발표한 통계 자료는 위의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2024년 2/4분기, 즉 2024년 6월까지의 기준으로

hellyeah.tistory.com

2024년 한국의 은행 자산순위 (최신 업데이트, 2024년 3월 기준)

 

2023년 통계 기준 한국 은행 자산 순위

2023년 한국의 은행 자산규모 순위 - 2023년 3월 통계기준

한국 은행 자산규모 순위 2022년 9월 기준

 

은행 관련 통계자료 팩트 정리

통계자료는 3개월에서 1년 가량 딜레이 되는 경우가 많다. 자료의 수집 시점을 결정한 뒤, 자잘한 숫자들이 조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에는 시스템이 잘 갖춰져서 이런 문제는 많이 없지만, 담당 공무원 등의 인력부족 등이 현실적인 이유기도 하다.

 

한국의 은행관련 통계는 분기별로 발표가 된다. 3, 6, 9, 12월 말 기준의 자료들이 취합되어 발표되는데, 자료 발표 시점은 약 4개월가량 뒤다. 현재 시점 가장 최신 자료는 아직까지 2023년 12월 자료다.  2023년 12월 통계기준의 한국 은행의 순위를 정리해 보았다.

 

2023년 한국의 은행들은? 총 19개 은행 4184조 원의 자산 보유

아직까지 은행 갯수의 변화는 없다. 그래서 2024년 상반기에도 은행의 갯수는 총 19개이며, 모든 은행이 보유한 자산은 4184조 원이다. 은행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총 19개이며, '금고' 등의 이름이 붙는 곳은 여기에 포함되지 못한다.

 

1997년 IMF사태와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 전후로 은행들이 통폐합되면서 현재 한국에 존재하고 있는 은행은 총 19개다. 이 중에 서로 합병된 지방은행을 하나로 계산하면 최종적으로 16개 은행이 한국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전북은행 광주은행은 JB금융지주로 통합되었고, 부산은행 경남은행 BNK금융그룹으로 통합되었으며, 제주은행 신한금융지주에 통합되어 있다.

 

참고로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그리고 토스뱅크의 경우 모두 2016년 이후 설립된 신규 은행으로, 약 20년 만에 은행업 라이선스를 발급받았다. 현재 은행업의 경쟁체제 구축을 위해 은행업 라이선스의 문턱을 낮춘다는 논의가 진행 중이다.

 

반응형

 2023년 한국은행들의 자산규모 순위 (단위: KRW)

순위 은행명 자산규모 (23년 3월) 자산규모 (23년 12월) 그룹 통합시
1 국민은행 (KB금융지주) 573조 9661억 610조 996억  
2 신한은행 (신한금융지주) 551조 5817억 591조 411억 598조 2천억 (제주은행 포함)
3 하나은행 (하나금융지주) 563조 7739억 578조 418억  
4 우리은행 (우리금융지주) 494조 4437억 508조 3725억  
5 농협은행 (NH농협금융지주) 441조 3429억 454조 2736억  
6 기업은행 (IBK금융그룹) 442조 3686억 452조 8150억  
7 산업은행 (KDB금융그룹) 347조 7467억 348조 9072억  
8 부산은행 (BNK금융그룹) 89조 1176억 91조 1635억 152조 8000억 (경남은행 포함)
9 SC은행 107조 6951억 88조 8707억  
10 대구은행 (DGB금융그룹) 73조 6740억 78조 1203억  
11 한국씨티은행 85조 5131억 77조 4857억  
12 수협은행 62조 6310억 70조 5279억  
13 경남은행 (BNK금융그룹) 60조 1544억 61조 7733억 152조 8000억 (부산은행 포함)
14 카카오뱅크 46조 8351억 54조 4740억  
15 광주은행 (JB금융지주) 31조 7318억 33조 6447억 57조 4992억 (전북은행 포함)
16 토스뱅크 24조 7626억 25조 7387억  
17 전북은행 (JB금융지주) 23조 1167억 23조 8545억 57조 4992억 (광주은행 포함)
18 케이뱅크 18조 7871억 21조 4218억  
19 제주은행 (신한금융지주) 7조 1950억 7조 2235억 598조 2천억 (신한은행 포함)

순위의 변동사항 - 외국계 은행의 하락

은행은 기본적으로 자본을 가지고 대출, 투자 등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때문에 급작스러운 금융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자산 변동이 크지 않은 편이다. 그래서 19개의 은행 간의 순위 변동도 사실상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지난 글과 달라진 순위가 몇 가지 있다. '신이 하는 일을 한 명에게 맡긴다'라는 별명이 있는 신한은행이 3위에서 2위로 점프하였고, 농협은행이 기업은행을 제치고 5위로 올라섰다. 소위 말하는 '국책은행'인 농협의 성장이 생각보다 놀라운 편이다.

 

그리고 스탠다드챠타드(SC)은행과 씨티은행이 둘 다 보유자산이 하락하며 순위가 내려갔다. 이 과정에서 소폭 자산 규모가 커진 부산은행과 대구은행이 순위가 올라갔다. 지난 글에서는 씨티은행의 변화가 눈에 띄었지만, 이번에는 외국계 은행 두 곳 모두가 하락했다는 점에서 의아한 점이 있다.

 

우리은행이 보유자산 500조를 돌파하면서 500조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는 은행이 총 4개가 되는 상황이 되었다. 2023년 3월 자료를 기준으로 할 때, 우리은행의 경우 494조로, 약간 부족하였지만 이제는 500조를 돌파한 상황.

 

2023년 9월 자료에 비해, 은행 전체 자산은 4184조에서 4177조로 0.16% 줄어든 상황이다.

반응형

댓글


##네이버서치## ##네이버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