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의 짤막한 역사: 마지막 여대 14개 학교
여자들만 다닐 수 있는 대학교, 여대. 한국 여대의 짤막한 역사를 소개합니다. 현재 한국에는 14개의 여대가 남아있습니다.
여대의 시초: 조선시대 여학교
여대의 시초가 되는 곳은 대부분 조선시대로 역사를 거슬러 올라갑니다. 조선시대 남녀 차별교육을 극복하기 위해 선교사들이나 여성운동가 등이 설립한 ‘여성학당’들이 여대의 모태가 되고 있습니다.
선교사들이 설립한 대표적인 학교로는 최초의 여학교인 이화학당(현 이화여대)이나 숭의여학교(현 숭의여대) 등이 있습니다.
여성운동가가 설립한 학교로는 배상명이 설립한 상명여학교(현 상명대)나 이숙종이 설립한 성신여학교(현 성신여대)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학교들은 현대식 교육을 받지 못하는 모든 여성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고, 선교사들의 학교는 종교적인 가르침도 함께 진행합니다.
사실 선교사나 여성운동가가 설립한 곳이라고 하더라도, 당시 수업의 내용들은 지금과 비교하면 대단한 내용은 아니었습니다. 글을 읽는 법이나 교양지식수준의 지식들을 전달하는 자리였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방 후 한국에서 여대는 자리를 잡고 발전해갑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약대와 의대의 정원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서 역차별이란 우려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남아있는 여자대학교 리스트
현재 한국에 ‘여대’로 남아있는 곳은 총 14개의 학교입니다. 7개교는 종합대학으로, 7개교는 전문대학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일반대학교 (가나다 순)
1. 광주여자대학교
1992년 광주여전으로 개교한 뒤, 1997년 종합대학으로 개편. 양궁부가 매우 유명하여, 기보배, 최미선, 안산 선수를 배출한 학교이기도 합니다.
2. 덕성여자대학교
1920년 여자 야학회를 모태로 '근화학원'으로 개교. 1935년 근화여자실업학교로 개명하고 1938년 근화(무궁화)라는 이름에 대해 일제가 개명을 강요하여 '덕성여자실업학교'로 변경함. 여성독립운동가(차미리사 선생)가 최초로 설립한 여학교입니다.
3. 동덕여자대학교
1908년 춘강 조동식의 동원여자의숙을 시초로 하고 있으며, 1910년 이재극과 김인화가 설립한 동덕여자의숙을 인수합병하며 지금의 '동덕'이라는 이름을 얻게 됨. 1911년 천도교에서 인수하였으나, 손병희의 타계 이후 1926년 동덕여학단 재단을 다시 설립하여 운영. 1950년 5월 27일 대학 설립허가를 받았지만, 6.25 전쟁으로 인해 실제 개교는 1951년에 이루어짐. 구한말 여성교육을 위해 민간자본으로 설립된 최초의 여성교육시설입니다.
4. 서울여자대학교
1961년 기독교의 종교적 배경을 바탕으로 설립. 그러나 그 설립의 역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가 1923년 대학설립결의에서 시작되어, 설립결의 후 38년 뒤 개교하게 되었습니다.
5. 성신여자대학교
1936년 운정 이숙종이 설립한 성신여학교에서 시작되었으나, 이숙종이 친일파라는 점 때문에 창립자에 대해서는 잘 가르치지 않고 있습니다. 창립자의 동상은 재학생들의 '분실물 보관소'로 이용되고 있다는 후문입니다. 1963년 성신여자실업초급대학으로 개편되었고, 1965년에 성신여자사범대학으로 개편되었습니다. 1979년 성신여자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고 198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됩니다.
6. 숙명여자대학교
1906년 대한제국 황실이 설립한 명신여학교를 모태로 하고 있습니다. 순헌황귀비 엄씨의 재원으로 1912년 재단법인 숙명학원이 설립되고, 학교를 운영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민족여성사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48년 미군정에 의해 대학승격을 받고, 195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습니다.
7. 이화여자대학교
역사로는 가장 오래된 여학교로, 1886년 최초의 여학교이자, 해방 이후 최초로 인가를 받은 사립종합대학. 미국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중구 정동에 세운 이화학당을 모체로 삼고 있습니다. 선교사가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제강점기에도 수준 높게 유지되면서 1925년 조선총독부 하에서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인가되고 고등교육기관으로 발전하였습니다. 1935년에 현재 자리(신촌)로 이전하였고, 1943년에는 중등교육기관과 고등교육기관의 법인 분리가 이루어졌습니다. 1945년 대한민국 최초로 종합대학 인가를 받아 현재의 이화여자대학이 되었으며 1946년 이화여자대학교로 개칭하였습니다.
전문대학
1. 경인여자대학교
1991년 경인여자전문대학 설립인가 후, 1992년 개교. 실제로 인천에 위치하고 있지만, 경인이라는 이름은 '경천애인'의 준말입니다. 현재 2년제, 3년제, 4년제 학과들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2. 배화여자대학교
1898년 미국 선교사 조세핀 필 캠벨 여가 설립한 '캐롤라이나' 학당을 시초로 설립. 1910년 배화학당으로 개칭하고, 1925년 배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되었습니다. 1978년 배화여자실업전문학교로 개교하고, 전문대학으로 개편됩니다. 현재에 이르러 2년제, 3년제 학과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부산여자대학교
1969년 부산여자실업고등학교를 모체로 하고 있으며, 1974년 부산여자실업전문학교를 설립한 뒤, 1979년 부산여자전문대학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마찬가지로 2년제, 3년제, 4년제 학과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 서울여자간호대학교
1954년 하두철이 설립한 학교법인 의담학회가 부산에 설립했던 2년제 간호학교 부산여자보건고등학교가 모체입니다. 이 학교는 1958년 서울로 옮겨와서 서울여자보건고등학교로 이름을 바꾸게 됩니다. 1962년 3년제 서울여자보건학교로 개칭하였으며, 1970년 서울간호전문학교, 1998년 서울여자간호대학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현재는 4년제 간호학과 1개 과만 운영되는 단과 전문대학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5. 수원여자대학교
1969년 설립된 수원간호고등학교를 모체로 하고 있습니다. 1972년 수원간호전문학교로 개편되었고, 1979년 전문대학으로 개편되었습니다. 현재에도 간호보건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며, 2년제, 3년제, 4년제 학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6. 숭의여자대학교
1903년 미국 선교사 마포삼열 박사가 평양에 설립했던 숭의여학교를 모체로 하고 있습니다. 1938년 일제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자진 폐교하였다가, 1953년 재단법인 숭의학원을 설립하며 다시 시작하였습니다. 1970년 숭의보육전문학교로 개편하고, 1971년 숭의여자전문학교로 확장되었습니다. 2년제와 3년제 학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7. 한양여자대학교
1974년 한양대학교가 설립한 여성실업인 교육기관인 한양여자실업전문학교로 개교. 1978년 한양여자전문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왕십리 인근의 한양대학교 캠퍼스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년제부터 4년제까지 다양한 과정의 학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