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주식은 언제 오를까? 장세순환 이론을 통해 살펴보기

by 중계붕어 2022. 10. 31.
반응형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사회는 여러 가지 요소들로 인하여 경기가 순환한다.

주식시장 역시 이러한 순환하는 경기에 따라 순환한다.

통상적으로 '마켓 사이클'이라는 이름으로 말을 하는데, 장세 순환 이론을 통해 주식 시장의 순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금융장세 -> 실적장세 -> 역금융장세 -> 역실적장세라는 순서로 알아보는 게 일반적이지만, 2022년 시점의 장세와 흡사한 '역금융장세'부터 설명을 한다.

1. 역금융장세

경기가 좋아지고, 자본시장이 팽창하기 시작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세지면 유동성(통화 공급)의 과다로 인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정부는 재정지출을 줄이면서 금리를 올린다.

기업이 돈을 빌리는 금리가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생산한 과도한 재고도 문제가 되기 시작한다.

시장에서는 점차 '돈이 마르기' 때문에 시장 전망이 좋고, 기업 실적도 좋다고 예견되더라도 주식 가격이 쉽게 올라가지 않는다.

높아지는 금리로 인해 시중의 자금은 서서히 채권시장으로 옮겨가기 시작한다.

주식시장의 관심도 '대형주'보다는 가격 부담이 적은 '소형주'로 점차 옮겨간다.

현금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대형주'가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급증한다. 다만, 이 가격이 하락하는 와중에도 실적은 괜찮은 편이다.

왜냐하면, 호황기의 좋은 실적 결과가 남아있고, 이러한 실적이 미래에도 연결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타이밍에는 '실적이 좋은데, 가격이 떨어지네? 줍줍 타임이다!'라고 생각하며 오히려 주식매집에 달려드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실적 예상치도 하락하기 시작하면 이때부터 본격적인 공포가 밀려들기 시작한다.

 

반응형

2. 역실적장세

이 시점부터는 실제 '저조할 것'이라 예상되는 실적이 나오기 시작하며 과거에 매입한 주식에 대한 공포가 더욱 가속화된다.

투자자들이 매입했던 주식을 빠르게 던지기 시작하고, 실적이 실제로 나빠지는 결과가 나오기 전부터 가격 하락이 시작된다.

즉, 주식에서 자산가치보다 적은 주식이 속출하기 시작하고 투자심리가 급속하게 얼어붙는다.

경기침체가 시작되면서 기업들의 구조조정과 기업 매각이 진행된다. 또한 소비심리도 위축되어 전체적인 성장률 또한 하락한다.

이로 인해 경기침체에는 수많은 기업들이 사라지기도 하지만, 이때부터가 '가치투자'의 제대로 된 시작이 찾아온다.

왜냐하면 이 공포의 시기에 하락한 주식을 사서 버티는 것이 결국 '가치투자'이기 때문이다.

 

3. 금융장세

경기침체가 벗어나기 시작하면 통상 '금융장세'에 접어든다고 한다.

정부는 경기침체를 벗어나기 위해 재정지출을 늘리거나 금리를 낮춰 유동성을 공급한다. 그러나 이때 기업은 이미 넘치는 재고와 설비로 인해 신규투자에 부담을 느낀다.

이렇게 공급되는 유동성은 '기업'이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장세에서는 '자본시장'으로 유동성이 투입되기 시작한다.

기업실적은 그다지 좋지 않지만, 주식시장이 '넘치는 돈'으로 점차 상승을 시작한다. 특히나 경기침체기에 큰 폭으로 하락했던 종목을 위주로 '저렴해진 주식'들이 상승하기 좋은 상황이 된다.

4. 실적장세

'돈을 풀어낸' 금융장세로 상승하는 주식시장의 수익률이 좋아지면서 실제 소비와 기업 실적도 좋아지게 된다.

결국 실제 경기가 완전히 회복하기 전에 이미 주식은 꽤나 오른 상황이 된다.

기업들 역시 이 상황부터 점차 경기가 좋아진다는 확신을 갖고 투자를 공격적으로 진행한다.

PER이 높은 주식들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더욱 주식이 상승하는 순환을 맞이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점차 분석가들의 기업의 실적 전망도 좋아진다.

그러나 기업의 실제 실적은 확인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 상황에서 금융장세/실적장세를 거치며 확대된 유동성의 문제가 점차 불거지면서 다시 정부의 움직임이 '유동성 회수'로 바뀌면서 '역금융장세'로 돌아서는 것이다.

 

장세 순환 이론에 따르면 한국의 시장 상황은 현재 역금융장세와 역실적장세의 어딘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세 이론에 따르면 주식이 오르는 시점은 결국 '돈을 다시 푸는' 행위가 시작될 때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현재 미 연준과 한국은행의 '금리'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이다.

 

주식시장이 언제 오를까?

이 날짜를 맞추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가장 괜찮은 투자전략은 진흙 속에 파묻혀 있던

다이아몬드와 같은 주식들을 찾기 시작하는 것이다.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 참사로 인하여 유명을 달리한

많은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부디, 이러한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