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3.50% 유지 발표

by 중계붕어 2023. 2. 23.
반응형

전반적인 경기 침체 우려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동결되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금리 상승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2021년 8월 26일 0.50%에서 0.75%로 기준금리를 상승하면서, 10회에 걸쳐 연속 상승을 하였다. 매번 0.25% 씩 상승하다 지난 2022년 7월 13일과 10월 12일에는 각각 0.5% 상승시키는 빅스텝을 밟았다. 조금 늦은 감은 있지만 드디어 지속적인 금리 상승을 일단락했다.

 

금통위는 2022년 7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하였고, 올해에도 금리 인상의 시그널을 계속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상승의 시그널은 역시나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설정에 달려있지 않을까 싶다.

 

미국 연준과의 기준금리 갭(gap) - 1%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로 미국 연준과의 기준금리 갭은 이제 1%가 되었다. 미국 연준이 지난 2월 2일 0.25% 금리를 상승시킨 상태기 때문이다. 

 

2023년 2월 2일 미국 FOMC에서는 기준금리를 0.25% 높이면서 '인플레이션이 다소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라는 코멘트를 달았다. 미국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버블을 여전히 경계하는 모습이다. 또한 추가금리 인상 의지까지 표명하였는데, 물가상승률을 2%대로 억제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밝힌 바 있다.

 

0.25%의 상상은 지난 글에 설명했던 미국의 예상 금리 움직임을 따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금리의 역사와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기 - 2023년 주식시장 전망 - 미국 금리 예상

 

2023년 주식시장 전망 - 미국 금리 예상

2023년 주식시장의 개장을 앞둔 지금, 시장의 방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혼조 된 상황이다. 과연 2023년 주식시장은 어디로 갈까? 가장 큰 금리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목차 1990년

hellyeah.tistory.com

반응형

미국 연준과 한국의 금리차는 결국 외국계 자금들이 이탈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물론 이 금리차에 따른 우려는 1차적인 우려다. 한국은행의 금리동결은 많은 사람들이 이미 이러한 우려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행되었다는 점에서 인상적이다.

 

그렇다면 이 금리차를 어떻게 해석하는 게 투자에 조금 더 도움이 될까?

한국은행 금리동결의 여파? 기회가 찾아온다.

2023년 2월 23일 현재 한국은행의 금리동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코스피는 1% 상승으로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한국은행의 금리동결은 두 가지로 해석은 가능하다. 바로, '우리 경제의 자신감' 또는 '이러다 우리 죽는다'는 우려다. 사실 우리경제의 자신감이라는 느낌이 오는 동결은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의 내수시장과 수출 전망이 모두 좋아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서울 주요 상권지의 소주 가격은 1병당 5천 원이다. 강남은 7천 원에 육박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생필품의 가격도 꽤나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미국과의 금리차를 좁히기 위해서 금리 인상을 단행한다면 대출금리 상승과 더불어 소비심리 위축이 함께 찾아왔을 것이다.

 

결국 현재 한국은행의 금리동결은 '힘들다'는 의미에 가깝다. 힘든 상황을 견디기 위한 잠깐의 휴식 같은 느낌이다. 이 상태에서 결국 도산할 기업들은 한 번 정리의 시간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고, 이 기회를 틈타 여력이 되는 회사들은 사이즈를 키워갈 것이다.

 

한국은행 금리동결에 따른 기회는 결국 M&A를 하며 사세를 확장하는 기업에 있을 것이다. 부실한 상태로 간신히 유지되어 오던 기업들이 걸러질 것이고 이것이 투자에서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올해 상반기는 이러한 기업을 찾아보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