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2025년 주식시장 전망 - 장세순환 이론으로 살펴 본 한국 증시의 현재 위치

by 중계붕어 2024. 12. 24.
반응형

2025년 주식시장 전망 - 장세순환 이론으로 살펴본 한국 증시의 현재 위치

 

주식시장의 흐름 이해하기

주식시장이라는 것은 자연처럼 순환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를 봄, 여름과 같은 계절로 비유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장세순환 이론'으로 이를 표현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전에도 이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 바가 있습니다.

 

장세순환 이론이란?

주식은 언제 오를까? 장세순환 이론을 통해 살펴보기

 

주식은 언제 오를까? 장세순환 이론을 통해 살펴보기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사회는 여러 가지 요소들로 인하여 경기가 순환한다. 주식시장 역시 이러한 순환하는 경기에 따라 순환한다. 통상적으로 '마켓 사이클'이라는 이름으로 말을 하는데, 장세

hellyeah.tistory.com

 

장세순환 이론은 세세한 종목 주가의 변동이 아니라, 전체 시장의 변동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즉, 주식 시장에 보다 많은 비중을 실어야 할 때인지, 줄여야 할지를 결정할 때 도움이 되는 이론입니다.

반응형

주식시장의 장세순환 이론 이해하기

주식시장의 4가지 장세

주식시장의 장세는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금융장세

  • 경기가 대체적으로 나쁜 상황에서 정부는 금리를 내리고 돈을 풀면서 경기를 살리려고 노력을 하는 시기
  • 금융효과가 시장을 이끌기 때문에 '금융장세'라고 불림
  • 기업의 실적은 나쁘지만, 주가가 빠르게 오르는 특징을 보임

2. 실적장세

  • 경기가 점차 좋아지면서 기업의 실적이 개선되고, 이러한 형태가 나타나는 시기
  • 기업의 실적이 시장을 이끌기 때문에 '실적장세'라고 불림
  • 기업의 실적이 드러나기 때문에 주가가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상승함

3. 역금융장세

  • 금융장세와 반대로, 금리가 올라가는 한편 실물 경기가 최고로 좋아지는 시기
  • 금리 상승으로 시장에서의 유동성이 줄어들기 시작하기 때문에 '역금융장세'라고 불림
  • 기업의 실적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점차 하락하기 시작함

4. 역실적장세

  • 금리는 천천히 내려가기 시작하고, 기업 실적이 나빠지는 시기
  •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특징을 보이게 됨

현재 시점 한국 시장의 위치는?

지난 글(2022년 10월)에서는 한국이 역금융장세와 역실적장세의 어딘가에 있는 것 같다고 보았습니다.

 

2024년 말 현재 한국 주식시장의 상황은 어떨까요?

시장상황

  • 코스피 지수는 2024년 9%가 넘게 하락한 상태입니다.
  • 이와 반대로 미국, 일본, 홍콩 등 다른 나라의 증시는 크게 상승한 상황입니다.

시장의 분위기

  • 현재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입니다. 계엄의 여파로 인한 탄핵사태뿐만 아니라, 이후 선거에 대해서까지 조금 복잡한 상황이죠. 거기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곧 출범할 예정이며, 한국에 대한 스탠스가 어떻게 나타날지 불분명한 상황입니다.
  • 그리고 연준이 금리를 소폭 낮췄지만, 이로 인한 높은 환율의 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 주식시장 전망

현재 증권사들이 2025년 주식시장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

1. 지수전망

상단밴드 - 코스피 2900-3100 포인트

하단밴드 - 코스피 2250-2300 포인트

2. 투자전략

최근 전세계적인 트렌드는 AI와 양자컴퓨터, 우주개발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이 한국 주식시장에 적용되긴 어렵습니다. 한국에는 세계적 트렌드를 이끄는 분야가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세계적 트렌드를 뒷받침하는 부품 관련 업체들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보입니다. 반도체가 대표적인 케이스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중국에게 위협을 받고 있던 사업들이 일시적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이러한 흐름에 따라 '조선업'이 산타랠리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바이오시밀러)도 일부 랠리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주로 살펴보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3. 한국 주식시장의 현재

현 시점은 전반적으로 역실적장세에서 금융장세로 넘어가는 과도기로 전망됩니다. 이런 시기에 공통적인 투자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을 살펴보기
  • 우량 기업 위주로 관심을 가지며 살펴보기

금융장세가 이끄는 강세장이 나타날 수 있을까요? 거래량이 점차 증가하며 주가가 올라가거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되고 기업들의 실적 개선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다면 금융장세에 돌입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주식시장의 겨울이 길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 겨울이 어디서 풀릴지 조금 지켜볼 필요가 있겠네요.

반응형

댓글


##네이버서치## ##네이버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