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증시자금 상황으로 보는 주식시장

by 중계붕어 2023. 1. 13.
반응형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결국 '유동성'이라고 부르는 자금의 유입이다. 자금이 충분히 시장에 유입되어야 시장이 성장할 수 있는 양분이 되기 때문이다. 2022년 말 한국 주식이 계속 떨어지면서 증시 자금 자체가 야금야금 줄어들고 있었다. 하지만 2023년 시장이 시작되며 분위기가 살짝 바뀌는 낌새가 느껴지고 있다.

지난 3개월간의 투자자 예탁금과 반대매매 비중

투자자 예탁금의 변화

투자자 예탁금은 투자자들이 주식에 투자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자금을 말한다. 2020년 3월 코로나로 시장이 무너지던 당시 약 40조 수준까지 떨어졌던 예탁금은 증시상승에 엄청난 탄력을 받고 한 때 70조까지 급증했다. 하지만 코로나 장기화와 2022년 금리상승으로 인해 점차 하락하기 시작하였고, 현재 시점에서는 50조 언저리를 움직이고 있다.

 

이 금액이 늘어난다는 것은 시장에 자금이 유입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주식시장 곳곳에 있는 주식에 숨통이 트인다는 것이다. 특히 위의 그래프를 보면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비중이 12%를 넘겼다가 급격히 내려왔고, 예탁금 역시 감소하며 약 40조 초반까지 내려오게 되었다. 가파르게 내려오고 있던 예탁금은 1월 10일부터 살짝 방향을 틀었다. 이를 조금 더 예민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신용거래 금액'이다.

 

코스피시장 신용거래융자금
코스닥시장 신용거래융자금

신용거래의 특징

예전 글에도 소개했던 것처럼 신용거래는 주식이 오를 것이란 전망이 있을 때, 더 많은 주식을 매입하기 위해 빌리는 돈을 의미한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12월 중순부터 급격하게 신용자금 규모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신용거래는 주식이 하락하기 시작할 때, 훨씬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주가 하방성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즉, 시장이 하락하기 시작하면 저 신용금액만큼의 볼륨이 신용융자를 상환하기 위한 '팔자'로 작용해 버리는 것이다.

 

아직 코스피 시장에서는 아직 명확하진 않지만, 코스닥 시장의 경우에는 2023년 장이 시작되면서부터 조금씩 신용잔고가 상승하고 있다. 현재 예탁금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신용잔고가 늘어난다는 의미는 현재 시장에 남아있는 투자자들이 시장 상승에 슬슬 베팅을 시작했다는 의미다.

 

반응형

신용거래에 대한 간략한 정리 - 주식 신용거래란? 담보비율과 상환까지

 

주식 신용거래란? 담보비율과 상환까지

2022년 마지막 주식시장일이었던 어제(2022년 12월 29일),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마이너스로 마무리 됐다. 마이너스로 마무리되었던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배당을 위해 주식을 매수했던 금융투

hellyeah.tistory.com

시장 상승에 베팅을 시작하게 된 이유?

시장 상승을 전망하는 이유는 미국 금리의 상방이 막혔다는 예상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은행의 금리는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3년에도 금리를 소폭 상승시킬 것이라 이야기하고 있지만, 전 세계 시장의 시그널이 그다지 좋지 않은 상황이다. 금리의 인상이 더 진행될 경우, 경기 침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셈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미국의 금리는 여전히 소폭 인상이 가능하다고 본다.

 

 

미국의 금리 예상 - 2023년 주식시장 전망 - 미국 금리 예상

 

2023년 주식시장 전망 - 미국 금리 예상

2023년 주식시장의 개장을 앞둔 지금, 시장의 방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혼조 된 상황이다. 과연 2023년 주식시장은 어디로 갈까? 가장 큰 금리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목차 1990년

hellyeah.tistory.com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이슈 외에도, 한국의 채권시장에서도 자금 경색이 조금씩 해소되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호재다. 지난 연말 레고랜드 ABCP 문제로 인해 건설시장에 대한 불안이 극에 달하고 있었지만, 롯데건설이 채권을 조기상환하는 데 성공하는 한편, 기업의 사채발행에 있어서도 안정적인 모집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어느 정도 시장이 안정을 찾아갈 것인가? 시그널은 나쁘지 않다.

 

관련글 - 지금 ABCP - 자산유동화기업어음 사태를 알아보자

 

지금 ABCP - 자산유동화기업어음 사태를 알아보자

현재 경제관련 기사를 도배하고 있는 ABCP - Asset-Backed Commercial Paper (자산유동화기업어음)에 대해 쉽게 풀어보려고 한다. 용어에서 느껴지듯, ABCP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어음'이다. 회사가 나중에

hellyeah.tistory.com

 

고객 예탁금과 신용잔고는 매일 업데이트 되는 정보다. 이 내용을 보다 자세하게 분석해보고 싶은 경우에는 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된다. 이를 통해 시장의 변화를 조금 더 빨리 캐치할 수 있을 것이다.

 

증시자금 관련 통계 확인하기 - 금융투자협회홈페이지

 

메인 | 자본시장통계, FreeSIS

KOSPI지수 P | 01/12 2,365.1 5.57 0.24% 투자자예탁금 백만원 | 01/11 44,352,629 659,867 1.51% 신용융자 백만원 | 01/11 15,810,249 -100,972 -0.63% CMA잔고 백만원 | 01/11 57,455,122 -480,324 -0.83% 국고채(3년) % | 01/12 3.466 -0.006 -

freesis.kofia.or.kr

메뉴 - 주식 - 증시자금 추이 / 신용공여 잔고 추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