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와 관련된 곁다리

한국 1위 부자는 누구? 이재용이 아니다?

by 중계붕어 2025. 10. 4.
반응형
한국 1위 부자는 누구? 이재용이 아니다?

 

현재 시점에서 한국 1위의 부자는 누구일까요? 대부분 짐작하는 바로는 한국의 대표 기업 삼성의 이재용 회장을 떠올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의외의 인물이 1위가 되고 있는데요, 이들이 누구인지 살펴봅니다.

 

한국 부자순위 1위 후보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조정호 메리츠 금융지주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현재 시점에서 한국 부자순위 1위는 조사자료마다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세 사람이 가장 유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바로 김병주 MBK 파트너스 회장과 조정호 메리츠 그룹의 회장, 그리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입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 61세, 재산 14조 원

김병주 MBK파트너스

경남 진해 출신으로 미국 유학을 한 뒤 골드만삭스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였습니다. 칼라일그룹에 합류하여 2000년 한미은행 인수를 주도하여 7천 억 원가량의 차익을 거두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05년에는 자신의 영어이름인 Michael Byungju Kim의 앞글자를 따서 MBK파트너스를 설립하여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사모펀드로 성장시켰습니다.

 

조정호 메리츠 금융지주 회장 - 66세, 재산 12조 원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현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의 삼촌이 되는 조정호 회장은 한진그룹의 조중훈 회장의 막내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한진그룹에서 설립하거나 인수하였던 금융사 및 보험사를 별도 분리하여 90년대부터 총괄하였습니다. 그러다 형제들과의 사이가 멀어진 뒤, 한진과 관련된 모든 이름을 정리하면서 2011년 메리츠 금융지주로 완전히 탈바꿈하였습니다. 메리츠 금융의 주가가 상승하여 이재용 삼성 회장을 제치고 주식부자 1위로 등극하기도 합니다.

기업 총수의 가계도 : 한진그룹 2대 회장 조양호의 형제들

기업 총수의 가계도 : 한진그룹 조중훈 회장 일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 56세, 재산 12조 6천 억 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의 손자로서 현재 삼성전자 회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AI 반도체와 메모리 사업에서의 성장으로 재산이 우상향 중이지만, 이건희 회장 사망 후 약 2조 가량의 상속세를 분할납부하면서 재산이 줄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기업 총수의 가계도: 조현범과 이재용은 무슨 관계일까?

기업 총수 가족의 가계도 - 삼성가: 이재용과 정용진은 사촌이다?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는 세 사람의 재산은 대부분 회사의 주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 가격이 올라가면 재산이 급증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세 사람 자체가 각 회사를 대표하고 있기 때문에 주식 처분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죠.

한국 부자순위 4위~10위

위 세 사람의 순위 이후의 대략적인 순위 분포를 정리합니다.

 

4위 -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 추정 자산 10조 원

지금은 없어진 대우자동차 출신으로, 2002년 바이오기업인 셀트리온을 창업하여 바이오시밀러 개발로 성공하였습니다. 심지어 창업 시점이 다른 창업가에 비해 늦은 40대 후반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 사업가입니다.

 

5위 - 쿠팡 김범석 회장 : 추정 자산 6조 원

한국계 미국인으로 2010년 쿠팡을 창업합니다. 그루폰과 같은 외국의 사업모델을 카피하는 방식으로 쿠팡을 만들었지만, 당시 큰 성공을 거두진 못하였습니다. 이후 아마존의 시스템을 카피하여 '로켓배송'으로 한국의 이커머스 시장을 변화시켰습니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의 투자를 받으며 기나긴 적자의 시기를 거쳐 2021년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에 성공하면서 2024년에는 멤버십 요금과 쿠팡플레이를 통해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6위 - 현대자동차 정몽구 명예회장 : 추정 자산 6조 원

7위 -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 : 추정 자산 5조 원

현대자동차 그룹의 명예회장인 정몽구 회장과 그의 아들인 정의선 회장은 현대자동차 그룹을 글로벌 자동차 회사로 성장시키면서 왕회장 '정주영'의 의지를 잇고 있습니다. 한 때 대한민국 최고 부자였던 정주영 회장의 아들들과 그 상속과정은 다음 글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기업 총수의 가계도 : 현대가 - 정주영의 형제들

기업 총수의 가계도: 현대가 - 정주영의 자녀들

현정은이 패소하자 현대엘리베이터가 오르는 이유? 현대엘리베이터의 지배구조

 

8위 - 호텔신라 이부진 회장 : 추정 자산 5조 원

이재용의 동생이면서 호텔신라의 대표이사를 맡고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상속분에 대한 상속세를 납부하기 위한 주식매각으로 순위가 하락하였습니다.

 

9위 - 리움미술관장 홍라희 여사 : 추정 자산 4.9조 원

이재용과 이부진의 어머니이자, 이건희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여사는 현재 삼성가의 미술관인 리움미술관 명예관장을 맡고 있습니다. 또한 호암미술관장과 삼성문화재단 이사장의 직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의 동생은 중앙일보 회장인 홍석현, BGF의 홍석조 회장 등이 있습니다.

 

 10위 - 스마일게이트 권혁빈 회장 : 추정 자산 4.6조 원

대외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이름이지만, 크로스파이어, 로스트아크, 에픽세븐 등의 게임을 개발한 게임사 '스마일게이트'의 소유주입니다. 사실상 은둔하는 형태로 운영하고 있어, 대외적으로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대한민국 부자순위 11위 - 20위 리스트

다음은 대한민국 부자순위 11위부터 20위까지의 리스트입니다.

 

11위 - 카카오 김범수 : 3.3조 원

12위 - 알테오젠 박순재 : 3.2조 원

13위 - 하이브 방시혁 : 1.9조 원

14위 - DB그룹 김준기 : 1.7조 원

15위 - 야놀자 이수진 : 1.6조 원

16위 - 네이버 이해진 : 1.3조 원

17위 - LG그룹 구광모 : 1.3조 원

18위 - 미래에셋 박현주 : 1조 원

19위 - 크래프톤 장병규 : 1조 원

20위 - HD현대 정몽준 : 1조 원

 

여기까지 한국 20위 부자의 순위입니다.

 

고무적인 내용은 재벌 2-3세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신흥 부자들 - 김병주, 서정진, 김범석, 권혁빈, 김범수, 박순재, 방시혁,이수진, 이해진, 박현주, 장병규 등 재벌가가 아닌 사람들이 나타났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재벌가 출신의 사람들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재벌가의 저력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기업 총수의 가계도: LG 그룹 창업주, 구인회의 형제들

기업 총수의 가계도: LG 그룹 2대 회장, 구자경의 형제들

기업 총수의 가계도: LG 그룹 3대 회장, 구본무의 형제들

기업 총수의 가계도: LG그룹의 직계 4대 구인회, 구자경, 구본무, 구광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