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381 금융투자소득세의 문제점 최근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금융투자소득세의 주요 내용은 1. 국내 상장 주식/펀드/ETF 등 수익 5,000만 원 초과분에서 과세 2. 기타 금융소득 (해외주식형 펀드, 채권, ELS, 비상장주식 등)에 대해 과세 - 기본공제 250만 원 과세표준 = (금융투자소득 - 금융투자 이월 결손금) - 기본공제 반기 원천징수, 이월공제 최대 5년 세율 3억 이하 22%, 초과 25% 주식 부분만을 떼어서 생각해본다면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1) 2022년 1천만 원으로 투자를 시작한 A 씨. 2) 잘 나가는 K 메신저 업체에 투자한다. 운 좋게도, 단기 바닥에서 주식을 샀다. 약 8만 2천 원에 120주를 산 A 씨 그의 주식은 약 2개월 뒤 10만 7천 원으로 떡상을 한다. 그의 투자금.. 2022. 11. 8. VIX - 공포지수를 알면 금융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VIX -공포지수를 알면 금융위기를 파악할 수 있다?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종종 언급하는 수치가 있다. 바로 시장의 공포지수라고 알려져 있는 VIX 지수다. 역사적인 경제위기를 분석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 VIX 주식투자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과거를 한번쯤은 살펴보게 된다. 책에 등장하는 사례들 중에서 가장 먼저 꼽히는 것이 바로 17세기 네덜란드의 튤립 버블이다. 그리고 아이작 뉴턴도 물렸다고 알려져 있는 18세기 영국 남해회사 (South Sea Company) 주식 버블, 20세기 초 미국 대공황 (The Great Depression), 1987년 블랙먼데이, 1997년 한국의 IMF 구제금융 (아시아 금융위기), 2008년 모기지론(리먼 브러더스) 금융위기 사태, 2011년 미국.. 2022. 11. 6. 주식시장에서는 '대충 맞는 것이 낫다' 체계적 오류와 인과관계 사회과학(Social Science)을 공부할 때 가끔 다루게 되는 개리 킹, 로버트 커헤인, 시드니 버바의 유명한 공저 Designing Social Inquiry 에는 체계적 오류(Systemtic Error)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그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사회현상은 일반적으로 '실험'을 통해 재현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시간 상 전후로 벌어지는 두 가지 사건의 관계를 통해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을 확인하려고 한다. '상관관계(Correlation)'의 범위와 조건을 제한하여 '인과관계'로 간주하여 해석한다는 것이다. (그 외의 너무 깊은 이야기는 학문적인 논의로 진행되니, 여기서 생략한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원인'이 되는 사건과 '결과'가 .. 2022. 11. 4. 수익률 40%, 836배의 기적을 만든 투자전략, 마법공식 퀀트 투자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 한 번쯤 읽게 되는 책이 있다. 유명한 헤지펀드 매니저인 조엘 그린블라트의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The Little Book that Beats the Market)'이라는 책이다. 이 책은 정말 작다. 책 내용도 그렇게 긴 편은 아니라서, 기회가 된다면 읽어보는 것도 좋다. 예전에는 이 책의 번역본이 없어서 영어 원문을 읽거나, 내용을 찾아보아야 했다. 지금은 이 책의 번역본이 잘 출간되어 있으니 찾아본다면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이 마법공식의 투자전략이 이야기하는 본질은 아주 기본적인 것이다. 바로 '좋은 기업의 주식을 저렴하게 산다'이다. 이 주식시장의 단순한 명제를 '특별한 감정없이' 골라낼 수 있는 공식을 만들어 낸 것이 바로 '마법공식'이다. 이.. 2022. 11. 4. 퀀트 투자란 무엇인가? 퀀트투자 하는 방법 주식투자를 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사람의 감정을 배제해야 투자를 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의 심리가 워낙 자극에 취약하기 때문에 주식투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 이 심리를 배제하는 투자방법은 없을까? 보통 우리는 이 해답을 '퀀트투자'에서 찾는다. 퀀트투자란 무엇인가? 주식투자의 역사에서 인간 심리의 한계를 이해하게 된 사람들이 만들어낸 투자의 기법이 바로 퀀트투자다. 퀀트투자라고 하면 어려운 단어로 들리지만 질적인 분석 (Qualitative Analysis, Quaility)과 달리 계산할 수 있는 수량과 수치로 분석하는 양적인 분석(Quantitative Analysis, Quantity)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양을 의미하는 영어단어 퀀티티(Quantity)의 짧게 줄여서 QUAN.. 2022. 11. 1. 주식은 '몰빵'인가 '분산투자'인가? 주식은 '몰빵'인가 '분산투자'인가? 주식을 투자하는 사람에게 언제나 딜레마가 되는 주제다. 이에 대한 의견은 사람마다 다르다. 1. 주식 '몰빵'파의 주장 원금의 크기가 작으면, 수익률의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주식은 몰빵해서 최대한 크기를 키워야 한다. 2. 주식 '분산투자'파의 주장 투자는 안전하게 장기적으로 가야 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종목을 매수하여 서로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 (참고로, 그냥 아무생각 없이 여러 종목을 사는 것은 절대 '분산투자'가 아니다.) 크게 이런 두 가지 의견으로 나뉘게 된다. 재미있는 것은 시중에 나와있는 투자자들의 투자 패턴들을 살펴보면 앞서 말한 '몰빵'의 패턴에 더 가깝다는 것이다. '주식농부'라고 불리는 한국의 유명투자자 박영옥씨의 경우에도 "잘 모르는 수십 .. 2022. 10. 31. 주식은 언제 오를까? 장세순환 이론을 통해 살펴보기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사회는 여러 가지 요소들로 인하여 경기가 순환한다. 주식시장 역시 이러한 순환하는 경기에 따라 순환한다. 통상적으로 '마켓 사이클'이라는 이름으로 말을 하는데, 장세 순환 이론을 통해 주식 시장의 순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금융장세 -> 실적장세 -> 역금융장세 -> 역실적장세라는 순서로 알아보는 게 일반적이지만, 2022년 시점의 장세와 흡사한 '역금융장세'부터 설명을 한다. 1. 역금융장세 경기가 좋아지고, 자본시장이 팽창하기 시작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세지면 유동성(통화 공급)의 과다로 인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정부는 재정지출을 줄이면서 금리를 올린다. 기업이 돈을 빌리는 금리가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그동안 생산한 과도한 재고도 문제가 되기.. 2022. 10. 31. 주식투자와 채권투자의 차이점 다양한 투자상품이 존재하는 지금, 가장 접근하기 쉬운 주식투자와 고금리시대의 대안으로 알려져 있는 채권투자의 간단한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안전한 채권투자 채권투자는 언제나 '안전한 투자'로 각광을 받는다. 주식에 비하여 안정적인 투자수단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업이 파산할 경우에도 주식보다 우선 변제권을 갖고 있다. 채권의 가격변동은 이자율 변화에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원금의 손실폭이 적다. 채권은 기업이 파산하거나 기업을 해산하는 경우에도 우선 변제권을 가지고 있다. 채권을 먼저 상환한 뒤 남은 자산을 주주들이 나눠가져 간다. 하지만 이러한 변제권도 청산가치가 남아있을 때 가능한 부분이다. 이 블로그의 글을 읽다 보면, 채권에 대한 매력을 느끼게 되어 개인채권투자 등을 알아보는 .. 2022. 10. 29.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728x90 반응형